본문 바로가기

육아/육아휴직

2025년 육아휴직급여 지급 기준과 최대한 많이 받는 법(최신 기준)

육아휴직급여, 어떻게 하면 최대한 많이 받을 수 있을까요?

목차

 

육아휴직은 부모가 아이를 돌볼 수 있도록 보장된 중요한 권리이며, 육아휴직급여는 육아휴직 기간 동안 고용보험에서 지급하는 급여로 휴직 기간 동안 일정 비율의 급여를 보전받을 수 있습니다. 많은 분들이 "육아휴직급여는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?", "어떻게 하면 최대한 많이 받을 수 있을까?" 궁금해하시는데요.  특히 가계 소득이 줄어드는 육아휴직 기간 동안 지급되는 육아휴직급여를 최대한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
육아휴직급여는 기본적으로 일정 요건을 충족하면 받을 수 있습니다. 하지만 같은 육아휴직을 사용하더라도 어떻게 준비하고 신청하느냐에 따라 받을 수 있는 금액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. 오늘은 육아휴직급여의 지급 기준을 먼저 살펴보고, 급여를 최대한 많이 받을 수 있는 실질적인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.

 


✅ 육아휴직급여 기본 지급 기준 (2025년 기준)

  • 첫 3개월: 통상임금의 100% 지급 (상한 250만 원, 하한 70만 원)
  • 4개월 ~ 6개월: 통상임금의 100% 지급 (상한 200만 원, 하한 70만 원)
  • 7개월 이후 ~ 최대 12개월까지: 통상임금의 80%(상한 160만원, 하한 70만원)

📌 예를 들어, 육아휴직 전 월급이 300만 원인 경우

  • 첫 3개월: 월 250만원
  • 4개월~6개월: 월 200만원
  • 7개월 이후: 월 160만 원 

💡 하지만 육아휴직급여를 신청하는 방법과 타이밍에 따라 받을 수 있는 금액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. 예를 들면, 육아휴직 신청 시 시작일이 2025년 1월 1일 이후라면 변경된(인상된) 육아휴직급여를 받을 수 있고 그 전, 즉 2024년에 육아휴직을 개시한다면 해당 기간만큼은 전년도의 기준을 적용받아 상한액이 낮게 적용됩니다. 당연히 소급 적용되지 않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. 그렇다면 어떻게 하면 육아휴직급여를 최대한 많이 받을 수 있을까요?


🔹 육아휴직급여를 최대한 많이 받는 2가지 방법

✅ 1. 육아휴직 전 3개월간 인센티브·상여금 포함하여 급여를 높이기

육아휴직급여는 육아휴직 시작 직전 3개월 평균 통상임금을 기준으로 계산됩니다. 따라서, 휴직 전 3개월 동안 기본급을 높이거나, 인센티브·상여금이 포함된 형태로 급여를 받을 경우 육아휴직급여도 함께 증가합니다.

 

📌 예를 들어, 육아휴직 전 3개월 동안 인센티브를 포함하여 월급이 350만 원이었다면?
➡️ 첫 3개월: 100%는 350만원이나 상한선 적용으로 250만원 지급  -> 총 750만원
➡️ 4~6개월: 100%이나 상한선 적용으로 200만원 지급 -> 총 600만원

➡️ 7~12개월:80% 적용하여 280만원이나 상한선 적용으로 160만원 지급 -> 총 960만원

 

통상임금이 높다하더라도 육아휴직 1년간 최대 2,310만원, 최소 840만원 받을 수 있습니다. 최대치와 최소치 예상값이 다소 차이가 나는데요. 최대한 2,310만원에 가깝게 받으려면?💡 육아휴직 3개월 전부터 급여 구조를 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!


✅ 2. 배우자와 번갈아 육아휴직 사용하기 (6+6제도 활용)

같은 자녀 한 명의 경우, 해당 자녀 출생 이후 18개월이 될 때까지 부모가 모두 육아휴직을 하면 기간에 따른 부모의 육아휴직 급여는 다음과 같습니다. 한 명의 부모가 혼자 육아휴직을 쓰는 것보다💡배우자가 함께 육아휴직을 순차적으로 사용할 경우, 총 육아휴직급여를 더 많이 받을 수 있습니다!

6+6 육아휴직 급여 지급 기준 정리(상한선 적용 최대 금액 기준)

부모 각각의 육아휴직 기간 부모 각각 지급받는 금액 상한액(월)
1개월 250만 원
2개월 250만 원 × 2
3개월 250만 원 × 2 + 300만 원
4개월 250만 원 × 2 + 300만 원 + 350만 원
5개월 250만 원 × 2 + 300만 원 + 350만 원 + 400만 원
6개월 250만 원 × 2 + 300만 원 + 350만 원 + 400만 원 + 450만 원
7개월 이후 월 160만 원 (상한액)

 

부모 모두 육아휴직 사용 시 최대 지급액 계산

  1. 가장 많이 받는 금액 : 4,860만원(한 명이 1년, 이후 다른 한 명이 6개월 사용 가정 시) 
    • 육아 휴직 첫 번째 부모가 받는 금액 2,910만원
    • 첫 6개월 동안 1,950만원(50만 원 × 2 + 300만 원 + 350만 원 + 400만 원 + 450만 원)
    • 7개월째부터 12개월째까지 960만원(160만 원 × 6개월)
  2. 그 다음 많이 받는 금액 : 3,900만원(6+6육아 휴직 / 부모가 1년간 6개월 번갈아가며 육아휴직 가정 시)
    • 250만 원 × 2 + 300만 원 + 350만 원 + 400만 원 + 450만 원 = 1,950만 원
    • 부모 각각 1,950만 원 × 2명 = 3,900만 원

2번째 경우, 즉 6+6 육아휴직을 많이들 선호하시는 이유는 아무래도 한 육아휴직자가 받을 수 있는 육아휴직급여가 7개월째부터는 상대적으로 적어지기 때문인데요. 아이를 돌봐 줄 시터나 어린이집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면, 그 돌봄 비용이 크지 않다는 가정 하에 부모의 총 육아 휴직 기간을 1년으로 하고 이후에는 부모가 맞벌이를 하는 것이 가계 소득을 최대화할 수 있는 현실적인 방법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. 한편, 회사에서 육아휴직으로 자리를 비울 수 있는 기간이 길지 않은 경우도 많아 가장 많이 활용하는 기간이 부모 각각 6+6인 것 같기도 합니다. 또한 요즘은 분위기가 많이 바뀌었음에도 불구하고 아빠는 거의 육아휴직을 쓰지 못하는 경우도 많은 것이 현실입니다.


🔹 2025년 육아휴직급여, 제대로 준비하면 더 많이 받을 수 있습니다!

육아휴직급여는 고용보험을 통해 지원되는 중요한 제도이며, 경제적인 부담을 덜면서 아이를 돌볼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. 하지만 육아휴직 전 3개월의 급여 조정, 배우자와의 육아휴직 분배, 근로시간 단축제도 활용 등 몇 가지 전략을 활용하면 급여를 더 많이 받을 수 있습니다.

 

 

💡 육아휴직을 앞두고 있다면, 미리 급여 구조를 체크하고, 부부가 함께 계획을 세우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!
📢 고용센터에서 육아휴직급여 상담을 받아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니, 활용해 보시길 추천드립니다. 😊