✅ 2025년 출산휴가급여 최신 기준 & 계산 방법
[목차]
출산을 앞둔 직장인이라면 출산휴가급여가 얼마인지, 어떻게 신청하는지 궁금하실 텐데요.
2025년부터 출산휴가급여 지급 기준이 일부 변경되었으며, 특히 출산휴가 후반부(61~90일) 기간 동안 지급되는 급여의 상한액이 210만 원입니다. 오늘은 2025년 기준 출산휴가급여의 최신 정보, 지급 대상, 계산 방법을 알기 쉽게 정리해 드리겠습니다! 😊
🔹 2025년 출산휴가급여 지급 기준 (얼마 받을 수 있을까?)
출산휴가는 최소 90일(다태아는 120일) 동안 사용할 수 있으며, 급여 지급 방식은 회사 지급 + 고용보험 지급으로 나뉩니다.
구분 | 지급 기간 | 지급 방식 | 최대 금액 |
출산휴가 1~60일차 | 60일 (다태아: 75일) | 회사에서 지급 (100%) | 제한 없음 |
출산휴가 61~90일차 | 30일 (다태아: 45일) | 고용보험에서 지급 (통상임금 100%) | 최대 210만 원 |
총 지급 기간 | 90일 (다태아: 120일) | 회사 + 고용보험에서 지급 | - |
✅ 첫 60일(다태아 75일): 회사에서 통상임금 100% 지급 (상한 없음)
✅ 이후 30일(다태아 45일): 고용보험에서 통상임금 100% 지급 (최대 월 210만 원)
📌 쉽게 정리하면?
1️⃣ 출산휴가 첫 60일(다태아 75일)은 회사가 급여를 100% 지급
2️⃣ 출산휴가 마지막 30일(다태아 45일)은 고용보험에서 급여 지급 (상한 210만 원 적용)
🚨 주의할 점:
- 회사에서 지급하는 첫 60일 급여는 "통상임금 100%"이므로, 본인의 연봉과 회사의 임금 체계를 확인해야 함
- 월급이 210만 원을 초과하는 경우, 마지막 30일(다태아 45일) 동안은 상한액(210만 원)까지만 받을 수 있음
🔹 내 출산휴가급여 계산하기 (얼마 받을 수 있을까?)
출산휴가급여는 본인의 "통상임금"을 기준으로 계산됩니다.
👉 통상임금이란?
- 기본급 + 고정적으로 지급되는 수당(직책수당, 위험수당 등 포함)
- 상여금, 성과급, 연장근로수당 등은 제외
✅ 예제 1: 월급 200만 원인 경우 (단태아 출산)
지급 기간급여 지급 방식실제 지급액
지급 기간 | 급여 지급 방식 | 실제 지급액 |
1~60일 (회사 지급) | 통상임금 100% | 200만 원 × 2개월 = 400만 원 |
61~90일 (고용보험 지급) | 통상임금 100% (상한 210만 원) | 200만 원 × 1개월 = 200만 원 |
총 합계 | 90일 지급액 | 600만 원 |
💡 월급이 200만 원이면, 출산휴가 동안 총 600만 원을 받을 수 있음!
✅ 예제 2: 월급 300만 원인 경우 (단태아 출산)
지급 기간 | 급여 지급 방식 | 실제 지급액 |
1~60일 (회사 지급) | 통상임금 100% | 300만 원 × 2개월 = 600만 원 |
61~90일 (고용보험 지급) | 통상임금 100% (상한 210만 원) | 210만 원 |
총 합계 | 90일 지급액 | 810만 원 |
💡 월급이 300만 원 이상이면, 출산휴가 마지막 30일 동안은 고용보험 상한액(210만 원)까지만 받을 수 있음!
✅ 예제 3: 월급 400만 원, 쌍둥이(다태아) 출산
지급 기간 | 급여 지급 방식 | 실제 지급액 |
1~75일 (회사 지급) | 통상임금 100% | 400만 원 × 2.5개월 = 1,000만 원 |
76~120일 (고용보험 지급) | 통상임금 100% (상한 210만 원) | 210만 원 × 1.5개월 = 315만 원 |
총 합계 | 120일 지급액 | 1,315만 원 |
💡 다태아의 경우 출산휴가가 120일로 늘어나므로, 급여도 더 많이 받을 수 있음!
🔹 출산휴가급여 신청 방법 (어떻게 신청할까요?)
✅ 신청 절차
1️⃣ 출산 전: 회사에 출산휴가 신청 (출산예정일 포함)
2️⃣ 출산휴가 1~60일(다태아 75일) 동안: 회사에서 급여 지급
3️⃣ 출산휴가 61일(다태아 76일) 이후: 회사를 통해 고용보험 측으로 출산휴가확인서 접수 신청 -> 영업일 기준 2-3일 이후 온라인(고용보험 누리집/고용24어플)으로 출산휴가급여 신청(개인서비스-> 모성보호->출산휴가급여신청)
- 고용센터 방문 신청도 가능
- 출산일 이후 12개월 이내에 신청 필수
- 급여 지급은 신청 후 약 14일 이내 지급
🔹 결론: 2025년 출산휴가급여, 이렇게 받을 수 있어요!
✅ 출산휴가는 단태아 90일, 다태아 120일이며, 급여는 회사 + 고용보험에서 지급
✅ 첫 60일(다태아 75일)은 회사에서 100% 지급, 이후 30일(다태아 45일)은 고용보험에서 지급 (상한 210만 원)
✅ 본인의 통상임금을 기준으로 계산되며, 상한액을 초과하는 경우 마지막 30일 급여는 210만 원까지만 받을 수 있음
✅ 고용보험 누리집에서 신청 가능하며, 출산 후 12개월 이내 신청해야 함
📢 출산을 앞두고 있다면, 미리 본인의 출산휴가급여를 계산하고 신청 절차를 준비해 두는 것이 중요합니다! 😊
'육아 > 육아휴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5년 육아휴직급여 지급 기준과 최대한 많이 받는 법(최신 기준) (0) | 2025.02.09 |
---|---|
육아휴직 중 부업할 수 있을까? 육아휴직급여 미지급 조건 알아보자! (0) | 2025.02.08 |